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list-type-thumbnail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사업, 신청 절차와 혜택 총정리

by Baro2024-4 2024. 7. 12.
반응형

소상공인들을 위한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연 매출 6000만 원 이하의 영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최대 20만 원의 전기요금을 지원하는 제3차 전기요금 특별지원사업 신청이 이번달 8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이번 정책은 많은 소상공인들의 경영 부담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지원사업의 상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사업 메인페이지 [출처: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대상과 확대된 혜택

지원 대상 확대
기존의 ‘연 매출 3000만 원 이하의 소상공인’만을 지원하던 정책이 이번에는 ‘연 매출 6000만 원 이하의 소상공인’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소상공인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상반기에 매출 기준을 초과하여 지원받지 못했던 소상공인들도 이번에는 별도의 신청 없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간소화된 제출서류
기존의 복잡한 제출서류 절차가 간소화되어 소상공인들이 더욱 쉽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과 직접 계약한 경우, 사업자 정보와 고객번호를 입력하면 고지서에서 전기요금이 차감됩니다. 한국전력과 직접 계약하지 않은 경우에는 월 1만 2000원 이상의 전기료 영수증 하나만 제출하면 지원금을 계좌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신청 방법과 절차

한국전력 직접계약자
한국전력과 직접 계약한 소상공인은 기존 방식대로 사업자 정보와 한국전력 고객번호를 입력해 신청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전기요금 고지서에서 자동으로 차감됩니다.

비계약사용자
관리비 등에 전기료가 포함되어 한국전력과 직접 계약하지 않은 소상공인은 월 1만 2000원 이상의 전기료 영수증을 제출하면 됩니다. 이 경우 전기요금 지원금이 계좌로 환급됩니다. 이번 절차 간소화로 인해 매월 납부영수증을 제출해야 했던 번거로움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온라인 신청과 방문 지원

이번 3차 전기요금 지원신청은 '소상공인전기요금특별지원.kr'에서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소상공인들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77개 지역센터에 방문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중기부 누리집 공고문과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콜센터(1533-0200)에서도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_전기요금_특별지원_사업_시행_수정공고(7.8_시행).hwp
0.11MB

 

 

이번 제3차 전기요금 특별지원사업은 영세 소상공인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입니다. 지원대상 확대와 간소화된 절차 덕분에 더 많은 소상공인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금 바로 '소상공인전기요금특별지원.kr'에 접속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s)

Q1: 신청 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A1: 이번 3차 지원사업의 신청 기한은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으나, 가능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월 1만 2000원 이상의 전기료 영수증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A2: 월 1만 2000원 이상의 전기료를 납부한 영수증을 제출해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해주세요.
Q3: 한국전력과 직접 계약하지 않은 경우, 지원금은 어떻게 받나요?
A3: 한국전력과 직접 계약하지 않은 경우, 월 1만 2000원 이상의 전기료 영수증을 제출하면 계좌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Q4: 지원 대상이 어떻게 되나요?
A4: 연 매출 6000만 원 이하의 소상공인이 지원 대상입니다. 상반기에 매출 기준을 초과하여 지원받지 못한 소상공인도 별도 신청 없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5: 추가로 궁금한 사항은 어디서 문의하나요?
A5: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코로나19회복지원단 소상공인손실보상과(044-204-7294) 또는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콜센터(1533-0200)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습한 날씨에도 이불을 뽀송하게! 장마철 이불 관리 팁

장마철이 되면 습도가 높아지면서 이불이 쉽게 축축해지고, 불쾌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쾌적한 수면을 방해하고, 피부 질환이나 호흡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everyday-holiday4.tistory.com

 

반응형